사이트 검색

결과보고서

2024 한살림 생명협동연구 결과보고서 자료집 내려받기

지난 11월 25일, 2024 한살림 생명협동연구 결과발표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생명협동운동 현장의 문제의식을 심화하고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 활동을 공유하고, 연구자 및 활동가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올해 선정된 두 가지 연구는  농업과 생태계, 그리고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첫 번째 발표: 밭 생태 탐구 – 참여인증 생물학적 환경지표 가이드라인 작성

옥수수 밭의 생물 다양성을 중심으로 해충과 익충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연구는 농업 생태계의 균형 유지와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에 기여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감물 흙사랑공동체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 아홉 차례의 현장 조사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확인하며 참여인증 제도를 통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재조명했습니다.

두 번째 발표: 농민 중심의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기후위기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 이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기존 정책이 현장에서 실효성이 낮았던 이유를 분석하고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을 검토했습니다. 농민들과 정부 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고 신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환경 보전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했습니다.

당일 발표회에는 대략 40분께서 온라인으로 참석해주셨습니다. 참석해 주신 생산자와 연구자, 협동조합 관계자들은 깊은 공감을 표하며 연구진들의 노고에 감사를 전했습니다.

– “생산자님의 고견에 감사드립니다.” – 김지은

– “연구진의 발표를 통해 다양한 입장을 알 수 있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장경은/서서울

– “친환경 농지의 유지보전이 지구환경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주민평가에 깊이 공감합니다.” – 임종래/청주연합

이 외에도 많은 분들이 연구 내용을 통해 얻은 통찰과 현장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앞으로의 실천에 대해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생명협동운동의 가치와 실천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자리였으며,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긴 연구 결과물이 협동조합과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길 기대합니다.

모심과살림연구소는 앞으로도 생명과 협동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며, 협동조합과 지역사회의 성장을 함께 도모하겠습니다.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