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검색

[청년다양성포럼] 미담(미래를 위한 담론) 첫 번째 워크숍 현장 스케치②

  [모심과살림연구소 미담 워크숍 소개 ②] 지속가능한 먹기생활 : 공장식 축산업으로부터의 탈피, 채식 작성: 조아    지난 9월 미담의 워크숍 이야기의 첫번째 주제, <지속가능한 먹기생활 : 공장식 축산업으로부터의 탈피, 채식>을 소개합니다. 모두가 잘 먹기 위한 전제, 지속가능함  ‘잘 먹는다는 것’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미담은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건강한 밥상을 맞이하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의 밥상에 […]

[청년다양성포럼] 미담(미래를 위한 담론) 먹거리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먹거리 실천 캠페인 참여자 모집] 먹거리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분들, 비건 지향을 고민하고 있지만 혼자 시작하기 어려운 분들, 비건을 실천 중이지만 새로운 만남과 이야기가 필요한 분들! 또는 그냥 한 번 해보고 싶은 분들! 어떤 이유든, 누구든 환영합니다. 우리 함께 고민을 시작해봐요:) [신청링크] bit.ly/vegan_2weeks  

[청년다양성포럼] 미담(미래를 위한 담론) 첫 번째 워크숍 현장 스케치①

[모심과살림연구소 미담 워크숍 소개 ①] 모심과살림연구소에서는 협동운동에 대한 청년세대의 담론 형성을 위해, 2019년부터 청년다양성포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년다양성포럼은 청년이 그 자체만으로 소비되는 것이 아니라 청년이 주체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조건들을 함께 고민하기 위해 모인 집단입니다. 올해에는 ‘미담(미래를 위한 담론)’이라는 이름으로 모여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담 구성원들은 서로가 경험한 사회를 공유하고, 자신들의 경험과 관심사를 ‘우리의 고민’으로 […]

자본주의를 넘어 (2014)

  모심과살림연구소가 함께 기획한 책 <자본주의를 넘어>가 도서출판 한살림에서 출간되었습니다. 글로벌 자본이 가진 혼돈성, 비인간성, 파괴성을 극적으로 보여준 21세기의 첫 10년,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지닌 문제점을 분명하게 드러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 책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바탕으로, 인도의 사상가이자 사회실천가이면서 저명한 영적 수련가인 사카르가 창안한 프라우트PROUT를 기본으로 한 대안적인 경제사회시스템을 다양한 각도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 – 한살림선언 다시 읽기 (2011/개정)

목 차 다시 한살림을 선언하며 편집자의 말 1부 한살림선언 ·생명의 지평을 바라보면서     – 산업문명의 위기     – 기계론적 모형의 이데올로기     – 전일적 생명의 창조적 진화      – 인간 안에 모셔진 우주생명      – 한살림   2부 한살림선언 다시읽기 ·한살림세상을 희망하다      – 또 하나의 역사      – […]

지역살림운동의 길을 찾아서 (모심과살림 총서 4, 2009)

  목차   1부. 국가, 시장을 넘어 다시 지역으로 1. 사회적 협동의 호혜경제와 생명민주주의 | 윤형근 2. 사회적 경제의 역사와 전망 | 엄형식 3. 사회적 기업의 의미와 현황, 과제 | 정선희 4. 의료생협의 등장과 미래를 향한 도전 | 임종한 5. 후기근대 위험사회의 교육과 돌봄사회 | 조한혜정 6. 주부의 사회적 위상과 역할 변화: 한살림을 중심으로 | 이소영 7. 지역생명운동으로서 생협운동의 정체성과 그 역할 찾기 | 김기섭   2부. […]

마을이 보인다 사람이 보인다 (황주석, 2007)

    2007년 쉰 여덟 살을 일기로 영면한 시민운동가 황주석 선생의 유고집. 1970~80년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 1990년대 YMCA에서의 시민운동 등, 삶의 경험에 바탕을 둔 조직론과 그 실천경험을 통해 시민사회의 건강한 뿌리를 제안하는 책이다. 개인의 전인적 성장과 공동체적 가치를 일상적 삶의 기반으로 둔 기초공동체를 통해 구현하려는 황주석의 이론과 실천은, 철저하게 사회운동의 뿌리에 대한 것이다. 그의 사회운동론은 처음부터 끝까지 […]

땅에 뿌리박은 지혜 – 다시 농업을 생각한다 (2006)

우리 삶의 근간인 농업과 농촌의 위기를 안타까워하면서 농업이 처한 위기 상황, 농업의 문화적 가치, 농업과 농촌, 농촌에 돌아가 사는 일의 의미와 가치 등을 돌아볼 수 있는 다양한 글을 모았다. 2005년 국회에서 농지법을 바꿔 농민이 아닌 사람들도 좀 더 편하게 농지를 매입할 수 있게 하겠다고 할 때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대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인터넷 매체 <프레시안>에 싣기 위해 […]

스무살 한살림 세상을 껴안다 (2006)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향한 맹목의 질주로 환경 파괴와 공동체 해체가 점차 현실을 압박하기 시작하던 1986년, ‘생명’이란 화두를 던지며 자연 상태를 되살리고 사람들 사이의 신뢰를 되찾고자 노력해 온 한살림운동 20년의 역사를 기록했다. 생명이 담긴 건강한 유기농 쌀과 유정란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말을 걸기 시작한 조그만 쌀가게 한살림이 전국 20여 지역 13만 명이 참여하고 모든 것을 장바닥으로 내몰고 […]

살림의 말들 (모심과살림 총서 3, 2004)

  목차   [머릿글] 생명문화운동과 살림의 말들   [살림의 길] ·님, 모심(侍), 기룸, 생명운동, 생태환경 문제와 인성의 위기,  ·공동체의 해체와 그 대안, 한, 살림, 역설, 생명운동이 꿈꾸는 세상, 한살림   [위기의 산업문명] ·요소론, 기계론, 세계관, 중앙집권적 기술관료체제, 석유문명, 위기의 산업문명, 허구의 성장경제   [전통 속의 생명사상] ·신토불이, 각비(覺非), 천지부모, 반포지리, 식일완만사지(食一碗萬事知), 이천식천(以天食天), 경천, 경인, 경물, […]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