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검색

전국 한살림 생산자 회원 현황 및 의식조사 (2014)

  목차 1장. 조사 개요 2장. 조사 결과  1절. 일반 현황  2절. 친환경농업과 한살림에 대한 생각  3절. 생산 현황  4절. 조직 운영 및 회원 활동  5절. 농업생산 현장이 당면한 과제  6절. 향후 전망과 역할 3장. 분석 결과 종합 및 제언

아동 청소년 생명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2014)

  목차 Ⅰ. 기초연구를 시작하며  Ⅱ. 왜 ‘생명문화교육’인가? 1. 생명문화교육의 취지  2. 생명문화교육의 목적  3. 생명문화교육의 필요성  4. 생명담론의 교육적 모델화를 위한 지도 그리기  5. 소결  Ⅲ. 교육운동 흐름에 대한 진단과 생명문화교육의 단초들 1. 사회변화와 사회운동  2. 근대교육의 문제와 교육의 변화  3. 현재 공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교육 관련 내용들  4. 외국의 생명교육 사례  5. 소결  […]

한 사람을 세우는 한살림 기초조직 – 한살림 기초조직 활성화 보고서 (2014)

  목차 I. 한살림의 조직론 정립을 위하여  1. ‘조직화’와 ‘조직가’의 역할에 대하여    1) ‘조직’이란 무엇인가?    2) ‘조직화’는 뭐지?    3) 어떤 사람을 ‘조직가’라 부르는가?  2. 한살림의 조직화 방안    1) 한살림 조직화의 필요성과 관련한 질문들    2) 한살림의 조직적 특성과 조직화    3) 시대 변화에 따른 조합원 조직화 과제와 차원    4) 조직화를 […]

한살림의 사회적경제 활동 사례별 특징과 과제 (2014)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현황  1. 사회적경제의 의미  2. 국내의 사회적경제 도입 배경과 경과   3. 사회적경제를 통한 협동적 생존 전략   4. 한살림의 사회적경제 활동 흐름  Ⅲ. 한살림의 사회적경제 활동 사례  1. 한살림서울    1) 조합원 자주형 일공동체 설립과 지원 노력     2) 조합원 노동과 자주관리매장 시범사업     3) 살림나르미 협동조합     4) […]

생명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경제 시론 (2014)

  2. 시장사회의 도래와 사회적경제를 통한 방위  .시장사회의 출현과 특징   .내포 → 의존 → 분리 → 지배   .시장사회의 위기, 사회의 방위  .사회적경제의 재등장  .사회적경제에 대한 다양한 평가   3. 생명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에 대한 비판과 수렴 – 아니다 그렇다(不然其然)   .사회적경제의 주체와 그 행위 동기 – 지기금지(至氣今至) 원위대강(願爲大降)   .사회적경제의 경제 행위 – 시천주(侍天主) 조화정(造化定)   .사회적경제의 […]

전 세계 농업 및 먹거리운동의 동향 – 지속가능한 농업 및 먹거리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 모색 (2014)

  목차   I. 생산: 산업적 농업인가, 생태적 농업인가  1. 글로벌 식량위기, 아직 끝나지 않은 위기  2. 전 지구적 농지확보경쟁과 제3세계 소농의 위기   3. 기업의 새로운 전략, 공유가치창출(CSV)과 소농 껴안기  4. 국제개발협력 열풍과 농업 농촌개발의 모델 찾기  5. 대안농업의 모델, 농생태학과 로컬푸드, 식량주권   II. 소비: 먹거리의 지속가능성과 공공성을 찾아서  1. 미국과 유럽의 유기농, 로컬푸드 […]

“청춘의 밥과 삶, 안녕하십니까?” – 한살림과 청년 세대 조사연구 보고서 (2014)

  목차 들어가며 ·왜 ‘청년’인가? I. 2014년, 청년을 말하다  1. 청년 변천사  2. 청년세대, 그 다양한 이름 가운데 II. 청년들이 살아남는 법  1. 살림 안(못)하는 청년들, ‘한 살림’ 하는 청년들  2. 노동의 전환, 삶의 전환  3. 삶의 정치와 생활 네트워크 III. 한살림과 청년세대  1. 왜 ‘청년’에 주목하는가?  2. 한살림*청년 돌아보기  3. 한살림과 청년, 더 가깝게 […]

유기농(운동)의 정체성을 찾아서 (2013)

  목차   ·유기농(운동)의 개념과 정체성 찾기 – 정규호            1. 유기농 정체성에 대한 물음  2. 유기농 개념의 원칙과 차원들  3. 유기농의 등장 배경과 역할에 대한 기대들  4. 한살림의 농업살림운동에서 유기농(운동)의 의미와 적용 노력   ·유기농업의 관행화 – 윤병선                             […]

한살림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과 적용 가이드라인 (2013)

  목 차 I. 지속가능한 발전과 협동조합    II.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담론  1. 비재무적 성과의 대두     1) 성과측정의 중요성      2) 재무적 성과에서 비재무적 성과의 통합으로     3) 품질과 만족도 지표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표로   2.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책임     1)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보고서     […]

한살림 생산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제언 (2013)

  목차 1. 연구 배경과 목적 2. 한살림 생산조직으로서 공동체의 의미와 역할  1) 농민의 새로운 생산과 생활 협동을 위한 실천의 장  2) 농촌/농민문제 해결의 출발점 3. 한살림 생산공동체의 실천  1) 마을공동체 정착과 유기농업 기준 정립  2) 주체적인 생산조직 건설과 지역순환농업  3) 조직특위, 생산조직 활동단위로 시군조직/권역조직 정착 모색 4. 한살림 생산공동체의 현황과 과제  1) 생산자 일반현황 […]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