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검색

[무위당 23주기 토론회] 광장과 촛불 이후 생명운동의 과제 (5/20)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힘으로 만들어 낸 광장과 촛불 이후 사회를 생각합니다.  정치권력 재편과 제도 개선도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 각자도생의 엄혹한 현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불안감과 공허함을 치유할 수는 없습니다. 광장에서 일상으로 시선을 돌려 따뜻하고 든든한 삶의 안식처를 곳곳에 만들고,  평화롭게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시민들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내는 노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시민들 한 사람 한 사람이 […]

모심과 살림 8.5호(2017년 봄)를 펴냈습니다.

  반년간으로 발간되었던 모심과 살림이 계간으로 옷을 갈아입었습니다. 8.5호의 준비기를 거쳐 9호(2017 여름)부터 정기호로 발간할 예정입니다. 생명·협동운동의 이론과 담론, 한살림 안팎의 보다 다양한 현장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소개하려 합니다.   모심과 살림 8.5호 (2017년 봄)   시선   촛불광장에서 발견한 유대와 네트워크를 향한 열망   / 류하   기획   한살림운동, 돌아보기 발견하기 내다보기 지역에서 쓰는 한살림운동사 – 기록을 […]

2017년 모심과살림연구소 활동에 함께하실 분을 모십니다

2017년 모심과살림연구소 활동에 함께하실 분을 모십니다   1. 모집 부문 :  비상근 객원연구원 2명   2. 공통 기준   – 한살림 및 모심과살림연구소의 활동에 관심이 높고 참여를 원하는 분   – 해당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신 분   3. 활동 내용 (각 1명)   – 연구소 기획강좌, 현장 간담회 프로그램 담당(섭외, 홍보, 내용정리 및 공유 등) […]

모심과살림연구소 정기총회를 잘 마쳤습니다.

  모심과살림연구소 5차 정기총회가 지난 2월 9일 서울 서초동 한살림연합 교육장에서 열렸습니다. 연구소 회원 및 한살림 회원조직 임직원, 활동가 분들께서 참석해주셨습니다.     황도근 이사장의 인사말로 총회를 열었습니다.     한살림연합 이상국 고문(左)과 곽금순 대표(右) 님의 축하 말씀이 있었습니다. 연구소에 대한 안팎의 기대가 큰 만큼, 2017년에 더욱 변화된 모습으로 한살림운동의 새로운 30년을 만들어나가는 데 뒷받침이 되어 […]

‘깊은 협동’을 위한 작은 안내서 – 발간

  글쓴이: 김신양 펴낸날: 2017년 2월 9일 판형/분량: A5 / 128쪽   목차 I. 먼저 알아보기 : 협동과 협동조합에 대한 깊은 이해   1. 협동조합의 화두   2. 협동의 원리 II. 협동조합의 역사 알아보기 : 오래된 미래   1. 협동운동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2. 협동조합은 지구촌 어디서나 볼 수 있다   3. 협동조합의 […]

모심과살림연구소 제5차 정기총회에 모십니다. (2/9)

    연구소의 지난 한 해를 돌아보고 새로운 앞날을 준비하는 자리에 회원 여러분들을 모십니다.   일시  2017년 2월 9일(목) 오후 3시  장소  한살림연합(서초동) 3층 교육장 문의  02-6931-3609   – 안건 –  1. 2016년 감사 보고 및 감사보고서 승인 2. 2016년 사업결과 보고 및 결산보고 승인 3. 2017년 사업계획(안) 및 수지예산(안) 승인 4. 기타 안건 논의    

[살림의 새로운 길을 찾아서 ⑩] 서로의 베품으로 풍요로운 무소유 사회를 구상하다

서로의 베품으로 풍요로운 무소유 사회를 구상하다 이남곡 연찬문화연구소장     “20세기가 낡은 집을 무너뜨린 거라면, 21세기는 새로운 집을 지어야 되는 시대다.” 젊은 시절 사회주의에 투신했던 이남곡 님은 지금 새로운 문명과 무소유를 말하고 있다. 2005년 전북 장수에 정착해 연찬문화연구소를 연 그는 많은 이들과 인문학을 주제로 대화하며 자본주의 연착륙을 모색하고 있다. 그가 제안하는 새로운 집은 물신의 지배에서 […]

[살림의 새로운 길을 찾아서 ⑨] 노동자협동조합으로 삶의 토대가 되는 기업을 만들다

노동자협동조합으로 삶의 토대가 되는 기업을 만들다 – 해피브릿지 협동조합경영연구소장 송인창     “기업 자체가 돈 벌기 위한 수단이 아닌, 삶의 토대가 될 수는 없을까요?” 해피브릿지 협동조합경영연구소장 송인창 님이 던진 질문이다. 바꿔 말하면 이 질문은 그의 꿈이다. 회사는 직장인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지만, 회사를 온전한 자신의 삶 혹은 삶의 공간이라고 인식하는 이들은 드물다. 직장 생활의 회한을 […]

[살림의 새로운 길을 찾아서 ⑧] 성장 중독에서 벗어나 함께 잘 사는 살림의 경제로

성장 중독에서 벗어나 함께 잘 사는 살림의 경제로 고려대 경영학부 강수돌 교수       4살인 아이와 서점엘 갔다가 고개를 갸우뚱 했다. ‘2세’라고 딱지 붙은 ‘한글’, ‘수학’, ‘색칠’ 책들이 버젓이 전시돼 있기 때문이다. 내 아이나 아이 친구들이 그 나이 때를 떠올려보지만 이건 말이 안 된다. 간신히 엄마 아빠만 말하는 아이가 어떻게 한글을 배울까? 당장 보름만 […]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