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검색

2015년 나라 안팎 전환운동이 주목하는 키워드는?

2015년을 맞으며 전환운동 관련 나라 안팎 기관 및 단체에서 주요한 내용으로 다루는 사안을 정리해 소개합니다. 새해를 맞으며 소위 '주류', '대안' 혹은 '진보'라 불리는 조직 모두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경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회복되지 않는 경기와 더불어 더욱 심각해지는 소득 불평등은 청년, 여성, 노인 등의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국에서 일어나는 테러와 종교간의 […]

‘탈성장으로의 길’에 대한 몇 가지 단면

‘탈성장으로의 길’에 대한 몇 가지 단면   카츠마타 마코토(勝? 誠, 메이지학원대학 국제학부 교수)   * 일본 <아젠다 프로젝트>에서 발간하는 사회문제를 생각하는 계간지 『아젠다AGENDA – 미래를 위한 과제』 제 41호(2013년 여름)에 실린 글을 옮겼습니다.   들어가기 최근 일본에서 ‘탈성장’이라는 단어가 주목되고 있다. 현대 일본사회에서 탈성장이란 단어가 사람들을 주목하게 하고 울림을 주는 이유는 매일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돌아보고 간소한 살림으로 풍요로운 공생사회를

[인터뷰] 쓰고 버리는 시대를 생각하는 모임 –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돌아보고 간소한 살림으로 풍요로운 공생사회를   * 일본 <아젠다 프로젝트>에서 발간하는 사회문제를 생각하는 계간지 『아젠다AGENDA – 미래를 위한 과제』 제 41호(2013년 여름)에 실린 글을 옮겼습니다.   대량생산·대량소비에 이의를 주장하는 교토를 중심으로 40년간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쓰고 버리는 시대를 생각하는 모임’의 야마다(山田) 씨, 타카시라(田頭) 씨, 요시나가(吉永) 씨에게 […]

[지구촌 전환운동] 거대한전환 이니셔티브 외

[정보공유 사이트]   거대한전환 이니셔티브(GTI; Great Transition Initiative) www.greattransition.org   미국에 위치한 전환운동 단체로 전환과 관련된 아이디어 및 국내외 네트워크를 맺는 플랫폼 역할을 맡고 있다. GTI는 시장이나 정책에 의지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에 근원적인 문제인 성장중심적인 관점, 기득권 유지를 위한 행동 및 소비자중심의 문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 GTI는 […]

[전환운동 현장 소개] 전환네트워크 외

나라 밖 다양한 전환운동 현장을 소개합니다. 정리: 김이경 (모심과살림연구소 객원연구원)   [전환운동 소개] 전환네트워크 www.transitionnetwork.org    사진: www.transitionnetwork.org     전환운동이라는 개념을 보다 자세히 알고 싶다면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할 사이트이다. 전환네트워크는 최근에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문제와 사회 회복성 재건을 위한 전환모델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전환운동을 펼치고 있는 전세계 곳곳의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수행하는 단체들과 네트워킹을 맺고 […]

통일대박의 시작은 농업에서 (윤병선, 2014.3)

* 한국농어민신문 3월 10일자(제2607호)에 실린 글입니다.    통일대박의 시작은 농업에서   윤병선 (건국대 교수)     올 초에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말한 이후 대한민국은 통일을 대박으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부산하다. 박 대통령의 신년사를 계기로 ‘대박’이라는 말이 제도권으로 들어오기는 했지만, 그간의 남북의 대결구도가 심화됐던 최근의 몇 년을 생각해 보면 일반 국민들로서는 대략 난감하다. 박 […]

친환경농산물-GAP, 대립 아닌 상호 보완관계 (조완형, 2014.3)

* 한국농어민신문 3월 6일자(제2606호)에 실린 글입니다.      친환경농산물-GAP, 대립 아닌 상호 보완관계   조완형 (한살림연합 전무이사)     근래 친환경농산물의 부실인증 및 인증위반 사례가 늘어나면서 친환경농업의 신뢰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모 지상파 방송사에서 3월 말 경 친환경농업의 진실을 파헤친다는 미명 아래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공공성 흠집내기’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을 방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친환경농업 […]

한국 유기농의 신뢰도 점수는 (윤형근, 2014.2)

한겨레신문 2014년 2월 25일자에 실린 글을 옮겼습니다. 전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월 초 한 방송국에서 친환경농업의 허실을 고발하는 프로그램을 방영한다는 소식에 농민들과 유통 관계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농약 안 쳤다는 사실을 어떻게 믿느냐며 의문을 표하던 소비자들의 불신을 더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의 순환 원리와 노동력만으로 농사를 짓는 유기농업이 이 […]

표류하는 GMO 표시제 (김훈기, 2014.2)

경향신문 <과학오디세이> 2014년 2월 24일자에 실린 글입니다.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의 표시제도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다시 한 번 무산됐다. 2월 임시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회는 GMO표시제도의 확대 시행을 위해 발의된 '식품위생법 일부개정안'에 대해 판단을 유보했다. 전문위원회의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찬반양론 진영 간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고 한다. […]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