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검색

호혜시장과 협동조합

호혜시장과 협동조합   글 주요섭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1. 협동조합은 인생을 바꿀 수 있을까?   협동조합이 뜨고 있다. 5인 이상만 모이면 만들 수 있단다. 수많은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이러저러한 정부의 지원도 기대된다.   “새로운 협동조합 시대 활짝 열리다.” 지난 3월 13일 협동조합 담당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언론사에 보낸 보도자료의 제목이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1일 […]

내가 살고 지역이 살고, 그래야 또 우리가 살고 나라가 살고

내가 살고 지역이 살고, 그래야 또 우리가 살고 나라가 살고 글 하승우 (모심과살림연구소 초빙연구원)   한살림이 세상에 공표한 주요한 실천과제는 밥상살림, 농업살림, 생명살림, 지역살림이다. 이 과제들이 제각각인 것은 아니고 서로 연관된 것이지만, 넷 중에 가장 낯선 과제는 지역살림이다. 조합이 있는 지역의 살림살이를 관리하고 지역을 살리자는 뜻은 대충 이해되더라도 그래서 뭘 어떻게 하자는 말인가라고 자꾸 묻게 된다. 한 […]

한살림, ‘협동공동체’를 꿈꾸다

한살림, ‘협동공동체’를 꿈꾸다 – ‘쌍호공동체’와 ‘흙공동체’를 통해 본 ‘농민’ 생산자의 꿈 –   글 주요섭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2013년 7월 한반도 서해 바닷가에 2,000여 명의 ‘꿈’들이 모였습니다. 하늘색 상의에 새겨진 꿈, 바닷가 백사장에 세워진 솟대의 꿈, 그리고 이틀간 한살림 가족들을 주인공으로 연출한 가설무대에서 꿈들이 춤을 추었습니다.   생산자대회 이야기입니다. 지난 7월 19~20일 전북 부안군 […]

자본주의와 협동조합

자본주의와 협동조합   글 주요섭(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본주의의 실패’는 공공연한 이야기가 되었다. 유럽의 경제성장율 추락이나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같은 장기침체 때문만이 아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자체에 의문부호가 제기되고 있다. 한 마디로 ‘시장포화’ 때문이다. 1989년 베를린장벽이 무너지고 동구권이 글로벌 자본주의에 편입된 이후, 역설적으로 더 이상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없게 되었다. […]

한살림 협동운동의 ‘비밀’

한살림 협동운동의 ‘비밀’ – ‘생-소-하나’ 원칙과 새로운 사회・경제 –   글 주요섭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한살림은 협동조합 맞나요?” 한국사회에 협동조합 열풍이 거세게 불면서 한살림도 많은 사람들의 입길에 오르내립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한국형 협동운동의 개척자”라고 찬사를 보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협동조합으로써의 정체성(?)에 의문을 표시하기도 합니다. 분명 정부로부터 인가를 받은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 법인인데도 말입니다. 협동조합은 협동조합인데 […]

원전 문제, 부품 교체로 해결될 일인가?

원전 문제, 부품 교체로 해결될 일인가? – 반복되는 사고와 익숙함 속에 도사린 위험에 대하여 –   글 정규호 (모심과살림연구소 연구실장)       지난 5월 28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긴급 브리핑을 통해 현재 가동 중이거나 준비 중인 원전 6기에 위조된 불량품이 핵심 부품으로 사용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원전에서, 그것도 안전과 직결된 핵심 부품이, 안전 관리의 […]

‘성장’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 – ‘경제 성장’, ‘생협의 성장’, ‘인류의 성장’을 생각하며

'성장'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  – '경제 성장', '생협의 성장', '인류의 성장'을 생각하며   글 주요섭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하나. 경제 성장: “GDP 독재에서 벗어나자!”   "이제 'GDP(국내총생산) 독재 시대'를 끝내자. 수치로 계량화되는 양적 성장만으로는 안 된다. 사회적 약자를 얼마나 껴안을 수 있는지, 지구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함께 따져봐야 한다."   지난 […]

파국의 시대와 협동조합이라는 방주(方舟)

파국의 시대와 협동조합이라는 방주(方舟)   글 하승우(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연구위원, 모심과살림연구소 초빙연구원)       삶이 위태롭다. 생태위기와 전쟁, 경제위기, 금융위기, 해고와 실업, 에너지 위기와 핵발전소, 식량위기, 자살 등 곳곳에서 위기의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런 사회에서 어떻게 지금껏 살아남았을까 싶을 정도이다. 이런 위기에도 계속 살아가고 있으니 우리는 챔피언?   허나 지금까지의 생존이 앞으로의 삶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순수한 […]

생명운동과 새로운 사회운동의 패러다임

생명운동과 새로운 사회운동의 패러다임 – 2013년 한국형 문명전환운동의 원년을 꿈꾸며     “근본적인 변혁은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는 위기를 맞아 낡은 옛 것을 떼어내는 과정이며, 세 번째는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두 번째 그 사이의 국면, 즉 ‘이행의 시간’은 따라서 매우 긴장감이 넘친다. 이런 한계 영역에서는 낡은 것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으며, […]

한살림, 영혼이 있는 협동조합

한살림, 영혼이 있는 협동조합 – ‘생명의 눈’으로 본 한살림 협동운동의 특징 –   글 주요섭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협동조합이 뜨고 있습니다.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만큼은 아니지만 방방곡곡 요란합니다. 현대 한국협동운동의 선구자인 한살림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한살림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표가 던져지기도 합니다. “왜 ‘한살림생협’ 아니라 그냥 ‘한살림’이라고만 부르나요? 생협이 아니었던가요?” 협동조합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 […]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